임신

출산 준비물 목록 : 꼭 알아야 할 필수 체크 리스트

같이 크는 엄마 2025. 3. 31. 11:35
반응형

출산이 다가오면 산모와 가족들은 아기를 맞이할 준비를 철저히 해야 한다. 출산 준비를 미리 해두면 긴급한 상황에서도 당황하지 않고 차분하게 대처할 수 있다.

출처 : 맞춤형소량출판과 배송을 마치고...「임신준비부터 출산까지: 임신준비편」 ❘ 포해피우먼닷컴


 

용품 구입시 주의사항
배냇저고리 아기가 태어나 처음 입는 옷.
아기의 피부를 생각하며 순면 제품으로 고르고 라벨과 옷솔기 등 거칠거칠한 부분이 바깥쪽으로 되었거나 없는 것으로 고른다. ( 3~4개 필요)
속내의 생후 1개월에 입는 옷으로 단추가 아래위로 따로 되어 있는 것이거나 우주복이라고 불리는 아래위가 붙어 있는 옷도 좋다. 밑 부분이 똑딱단추로 되어 있어 가장 편하게 입힐 수 있는 옷이다. (2~3개 정도 필요)
속싸개 아기는 온몸을 감싸주어야 오히려 안정감을 느끼는데 이 때 사용하는 것이 속싸개이며 실내에서 아기를 안을 때 필요하다. 외출 시에는 겉싸개로 한 번 더 감싼다. (2개 필요)
손싸개
발싸개
신생아 떄는 손을 허우적거리다가 손톱으로 얼굴에 상처를 내는 일이 많다. 따라서 당분간은 집에서도 손을 감싸주는 것이 안정하다. 하지만 발은 외출할 떄를 제외하고 따로 감싸줄 필요가 없다.
턱받이 신생아는 위와 장이 덜 발달되어 자주 토하게 된다. 100일 정도가 되면 침을 많이 흘리거나 소화 기능이 미숙해 주주 토할 때 필요하다. (2~3개 정도 필요)
가제 손수건 젖을 먹일 때나 땀을 흘릴 떄, 목욕을 시킬 때 등 다용도로 요긴하게 사용할 수 있다.
부드럽고  흡수성이 좋은 것으로 여러 장 준비한다.
베개 아기의 머리크기에 알맞은 것으로 골라야 한다.또한 아기가 크면서 바꿔줘야 한다.
땀을 만이 흘릴 것을 감안해서 흡습성이 좋은 것을 선택한다. (2개정도 필요)
우유병 끊는 물 소독이 가능하고 표면이 매끄러워 잘 닦이는 것으로 선택한다. 모유를 먹일 경우라도 최소 2~3개는 준비해야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 소독하면서 쓸 수 있도록 7~8개 정도는 준비해야 한다. 
소독할 경우 끓는 물에 잠깐 삶는다.
휴대용 분유통 한 번 먹을 분량씩 통에 담아 외출하면 유용하다. 또 밤에 자기 전 미리 분유 케이스에 담아 놓으면 밤중 수유 역시 편리하다.
하루동안 외출 할 떄는 여러 개가 필요하다. 큰 것 한개(조립식으로 분해되면 4~5개로 분리)
우유병 브러시 부드러운 솔이나 스펀지로 된 것을 고르고 우유병에 손상이 가지 않을 정도이어야 한다 (1개)
젖꼭지 단계별로 바꾸어 주어야 하므로 필요한 만큼만 구입한다. (3~4개 필요)
체온계 디지털 체온게를 사거나 바로 온도를 잴수 있는 제춤으로 구입하는 것이 좋다. 
가겨은 일반 체온계 보다 비싸다 (1개)
기저귀 자주 갈아주지 않으면 엉덩이가 짓무를 수 있으므로 넉넉하게 30장 정도 구입해야 한다.
아기띠 아기 띠를 구입할 때 안전인증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목을 가누지 못하는 아기의 목과 머리를 보호하기 위해서 머리판이 붙어 있는 것이 좋다. 
여름에는 망사 소재, 겨울에는 면 소재가 좋다.

 


 

 

1. 처음부터 큰 사이즈 침대를 사용하는 것이 안전하고 비용 효과적인 선택이다.

 

2. 안전인증정보를 확인한다.  (확인 하려면 아래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3. 침대에 아기가 올라갈 때 사용할 수 있는 수평 막대나 발판이 없는지 확인한다.

 

4. 사용하기 전에 잠금장치와 안정성을 확인한다. 특히 중고품인 경우에는 더 꼼꼼히 확인해야 한다.

 

5. 매트리스가 단단한지 확인 한다

 

6. 줄자를 이용하여 다음 사항을 확인한다

  • 바 사이의 공간은 50-95mm, 95mm보다 넓은 간격은 아이의 머리가 끼거나 아기가 침대 밖으로 나가게 할 수 있음
  • 침대의 베이스와 상단 사이의 거리는 최소 600mm. 이는 아기가 일어설 수 있게 되면 넘어지는 것을 예방
  • 매트리스와 침대의 옆면과 끝단 사이의 간격이 20mm 이하여야 아이의 머리, 팔, 다리가 끼일 수 없다.

 

1. 카시트는 차량 뒷자석에 장착. 3점식 안전벨트가 적용된 좌우측 뒷좌석은 모두 장착이 가능

 

2. 차량 조수석에 카시트를 설치하면 교통사고 발생 시 전개되는 에어백에 의해 강한 충격을 받아 영유아의 생멱 & 신체 안전을 위협.

 

3. 카시트 장착 방법에 맞게 흔들림이 최소화되도록 차량 죄석에 단단히 고정. 

느슨하게 고정된 카시트는 교통사고 발생 시 심하게 움직여 영유아에게 2차 충격이 가해질 수 있다.

 

4. 카시트는 영유아 성장단계에 따라 적합한 제품을 선택하고 올바른 방향으로 장착

 

5. 카시트 머리지지대(헤드레스트: headrest)는 영유아의 머리를 충분히 지지하도록 높이 조절을 해야한다. 

머리지지대가 영유아 신체에 비해 낮은 카시트는 교통사고 발생시 여유아의 머리 및 목을 적절하게 보호하지 못함

 

6. 체중 10kg 이하, 생후 12개월 미만의 아기를 자동차에 태울 때는 반드시 후면 창이 바라보는 방향으로 카시트를 장착

 


 

출산 가방 준비 (입원 준비)

산모 신생아 보호자
  • 신분증, 건강보험증, 산모수첩
  • 여유 있는 속옷, 수유 브라, 양말, 슬리퍼
  • 세면도구(치약, 칫솔, 샴푸, 바디워시, 수건 등)
  • 보온을 위한 가디건 또는 겉옷
  • 산모패드(기저귀)(산후 출혈 대비)
  • 휴대용 물티슈, 수건
  • 신생아 의류(배냇저고리, 손싸개, 발싸개, 모자)
  • 기저귀 및 물티슈
  • 속싸개, 겉싸개
  • 신생아용 로션 및 보습제
  • 편한 옷, 세면도구
  • 간단한 간식, 음료수
  • 휴대폰 충전기
  • 현금 또는 카드

 


 

1️⃣ 병원 선택 및 출산 계획 수립

  • 분만 예정 병원의 위치 및 응급실 확인
  • 분만 방식(자연 분만, 무통 분만, 제왕절개 등) 논의
  • 병원 출산 패키지 여부 확인
  • 보호자 또는 남편의 출산 참관 여부 확인

2️⃣ 출산 전 건강 관리

영양 관리: 단백질, 철분, 칼슘, 오메가3 등 필수 영양소 섭취

운동: 가벼운 산책, 임산부 요가 및 케겔 운동

정기 검진: 마지막 산전 검사에서 태아 위치, 체중, 양수량 등 확인

출산 예정일 전후 대비: 출산 징후(진통, 양수 파수, 이슬 비침 등) 숙지

3️⃣ 응급 상황 대비

  • 갑작스러운 진통, 출혈, 양수 파수 시 병원으로 신속히 이동
  • 병원까지 가는 이동 수단(자가용, 택시, 보호자 지원) 미리 계획
  • 출산 직전 응급 상황 대비 물품(응급 연락처 리스트 등) 준비
  •  

 

🔹 출산 전 체크리스트

✅ 출산 가방 미리 준비

✅ 신생아 침대 및 육아 용품 마련

✅ 분만 병원 응급실 위치 파악

✅ 보호자 및 출산 도우미와 역할 조율

✅ 출산 후 신생아 건강검진 예약

✅ 출산 후 산후조리 계획 수립

🔹 출산 후 체크리스트

✅ 신생아 건강 상태 확인

✅ 모유 수유 또는 분유 수유 준비

✅ 산후 회복을 위한 휴식 및 영양 섭취

✅ 산후 출혈 및 회음부 회복 관리

✅ 산후우울증 예방을 위한 가족 및 전문가 상담


출산을 준비할 때는 미리 계획을 세우고 필수 물품을 갖춰야 한다. 출산 가방을 미리 챙기고, 병원 위치 및 응급 상황에 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출산 후 신생아 돌봄 및 산후 회복을 위한 계획도 함께 준비하면 더욱 순조로운 출산과 회복이 가능하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