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산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정상적인 분만 시기는 임신 37주 이후이지만, 그 이전에 출산이 이루어지는 경우를 **조산(Preterm Birth)**이라고 한다. 조산은 신생아의 건강과 생존율에 영향을 줄 수 있어 조기 발견과 적절한 치료가 중요하다. 이번 글에서는 조산의 원인, 증상, 치료 방법 및 입원 간호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조산이란 임신 20주~37주 사이에 분만이 이루어지는 경우를 말합니다. 출생 시 신생아의 발달 상태에 따라 생존율과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조산의 분류
- 극초기 조산 (Extremely Preterm): 임신 28주 미만
- 중증도 조산 (Very Preterm): 임신 28~32주
- 중등도 조산 (Moderate to Late Preterm): 임신 32~37주
신생아의 기관 발달 정도에 따라 치료 방법과 생존율이 달라지므로, 조산 위험이 있을 경우 조기 진단과 의료적 개입이 필요하다.
조산의 원인은 다양하며, 여러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1️⃣ 산모 관련 요인
- 과거 조산력: 이전에 조산 경험이 있는 경우
- 자궁경부 무력증: 자궁경부가 정상적으로 닫혀있지 않고 쉽게 열리는 경우
- 양수 과다증 또는 과소증: 양수의 양이 비정상적으로 많거나 적은 경우
- 자궁 및 태반 이상: 태반 조기 박리, 태반 기능 저하 등
- 자궁 감염 및 전신 감염: 세균성 질염, 신우신염 등 감염 질환
- 임신 중 출혈: 전치태반, 태반 조기 박리 등의 합병증
2️⃣ 생활 습관 및 환경 요인
- 흡연, 음주, 약물 복용
- 스트레스, 과로, 영양 부족
- 과도한 카페인 섭취
- 체중 저체중 혹은 비만
3️⃣ 다태임신 및 난임 치료 후 임신
- 쌍둥이, 삼태아 등의 다태임신
- 시험관 아기 시술 후 임신
✔ 규칙적인 자궁 수축 (10분 간격 또는 그 이하)
✔ 골반 압박감 및 하복부 통증
✔ 분비물 증가 또는 출혈 (혈성 점액 배출)
✔ 양수 파수 (맑은 액체가 흐르는 느낌)
✔ 허리 통증 증가
✔ 배변 욕구 증가
이러한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병원을 방문하여 진단을 받아야 한다.
조산이 의심될 경우, 병원에서는 다양한 치료 방법을 적용하여 출산을 늦추고 태아의 건강을 보호한다.
조산 위험이 있는 경우 병원에서 입원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1️⃣ 자궁 수축 억제제(Tocolytics) 투여
- 니페디핀(Nifedipine), 리토드린(Ritodrine) 등의 약물을 사용하여 자궁 수축을 억제
- 단기간(48시간 이내) 사용하여 태아의 폐 성숙을 돕는 시간을 확보
2️⃣ 스테로이드 주사
- 태아의 폐 성숙을 촉진하기 위해 베타메타손(Betamethasone) 또는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투여
- 조산 후 신생아 호흡곤란증후군(RDS) 위험 감소
3️⃣ 항생제 치료
- 감염에 의한 조산 위험이 있는 경우 항생제 투여
- 양막 조기 파수(PPROM) 시 감염 예방을 위해 사용
4️⃣ 침상 안정(Bed Rest)
- 과도한 움직임을 피하고 침대에서 안정 취하기
- 스트레스 최소화 및 생활습관 조절
5️⃣ 태아 모니터링(Fetal Monitoring)
- 태아의 심박수, 자궁 수축 상태 지속 확인
- 필요 시 추가적인 초음파 검사 시행
입원한 산모에게는 적절한 간호와 모니터링이 이루어져야 한다.
🔹 산모 간호
- 자궁 수축 강도 및 간격 모니터링
- 체위 조절(좌측 와위 자세)로 자궁 혈류 증가
- 스트레스 및 불안 완화를 위한 정서적 지원
- 약물 부작용 모니터링 및 교육 (수축 억제제, 스테로이드 등)
🔹 태아 간호
- 태아 심박동 모니터링 (NST, CTG 시행)
- 양수 파수 여부 확인 및 감염 예방
- 조산 가능성에 대비한 신생아 중환자실(NICU) 준비
조산은 신생아의 건강과 생존율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만큼, 조기 발견과 적절한 치료가 필수적이다. 조산 위험 요인을 알고 증상이 발생하면 즉시 병원에 방문해야 하며, 입원 치료를 통해 태아와 산모의 안전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조산 입원 시 의료진의 지시에 따라 철저히 관리하고, 태아와 산모의 건강을 최우선으로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임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도분만(Induced Labor): 과정, 적응증, 방법, 장단점 및 간호 관리 (0) | 2025.04.03 |
---|---|
자연분만 가이드 : 과정, 입원기간, 비용, 의료진 역할, 산모케어 (0) | 2025.04.02 |
출산 준비물 목록 : 꼭 알아야 할 필수 체크 리스트 (0) | 2025.03.31 |
출산 임박 징후와 출산 과정 : 꼭 알아야 할 정 (0) | 2025.03.31 |
임신 중절술(낙태) (0) | 2025.03.29 |